Last Christmas - Wham
연말 크리스마스 시즌이 되면 세계 각지의 거리에선 ‘캐럴(Carol)’이라고 불리는 음악들이
쉬지 않고 울려 퍼진다. 음악의 장르 용어들이 그러하듯이 캐럴의 정확한 의미와 연원을
특정하기란 쉽지 않다. 중세 이후 종교개혁을 거치며 엄숙한 교회음악과 교회 밖의 세속적인
축제음악이 잡종 교배하며 발전해 왔기 때문이다.
16세기 르네상스 시대의 영국 작곡가 월리엄 버드 같은 이들이 캐럴이라 부르는 모테트(다성부
성악의 일종)들을 작곡했는가 하면 작자를 알 수 없는 수많은 민요 성격의 캐럴들이 또한 만들어져
입에서 입으로 전해졌다.
이런 캐럴 음악이 상업적인 차원에서 기폭제가 된 것은 역시 1942년 어빙 벌린이 작곡하고
빙 크로스비에 의해 녹음되어 오늘날까지도 그 위세를 잃지 않고 있는 ‘White Christmas’의 등장일 것이다.
특히 2024년 크리스마스 시즌에는 BTS의 뷔가 시대와 세대를 거슬러 빙 크로스비의 목소리와
컬래버레이션으로 이 곡을 발표해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캐럴은 아기 예수의 탄생을 기리는 축제의 노래다. 그래서 밝고 따뜻하며 흥겨운 노래들이 대부분이다.
성탄절 전야에 아이들이 마을을 돌며 캐럴을 부르는 문화를 캐럴링(Caroling)이라고 하는데
캐럴의 원래 뜻인 원형을 이루어 돌며 춤추는 댄스뮤직이라는 의미와 잇닿아 있다.
그러나 우울하고 고독한 캐럴도 있다.
같이 기쁨을 나눌 가족이나 친구 연인이 없는 이들의 크리스마스는 한층 황량하다.
1957년 떠오르던 신성이었던 로큰롤 스타 엘비스 프레슬리는 1948년 도이 오델의 첫 녹음 이후로
여러 사람에 의해 재녹음되며 알려진 이 노래를 그만의 감성으로 재해석하며 캐럴 역사의 새로운 획을
하나 추가한다.
그리고 1984년 영국의 듀오 왬이 실연의 캐럴 ‘Last Christmas’를 히트시켜며 이 계보를 잇는다.
“당신이 없는 우울한 크리스마스가 될 거에요/그리고 우울한 눈송이가 날릴 것이고/우울한 기억들이
떠오르겠죠(I’ll have a blue Christmas without you/and when those blue snowflakes are falling/
That’s when those blue memories start cal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