詩와 글과 사랑

부지불온

maverick8000 2023. 3. 16. 08:38

공자는 “나를 알아주지 않아도 성내지 않으면 또한 군자이지 않겠는가”라고 말했다.

군자란 ‘양심이 살아있는 품격 높은 지식인 지도층’이라고 풀어 말할 수 있다.

군자는 자신의 양심과 좋아하는 바에 따라 행동할 뿐 남이 알아주건 안 알아주건 개의치 않는다.

그러나 세상에는 군자를 자처하면서도 남이 알아주지 않으면 화를 내는 사람이 많다.

공자님 때도 그랬었나 보다.

물론, 사람은 사회적 인정을 받을 때 존재감을 느끼고, 존재감이 곧 행복감의 시작일 수 있다.

특히, 유·소년들은 존재감을 크게 느낄수록 동기유발이 강하여 적극적으로 정진한다.

실은 성인도 마찬가지다. 그래서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라는 말이 있다.

 

不:아니 불, 知:알지, 慍:성낼 온. 알아주지 않아도 성내지 않아야 군자

 

문제는 군자를 자처하면서도 남이 알아주지 않는다며 성을 내는 거짓 군자이다.

행사장 내빈석 자리 배치를 두고 “내 자리가 왜 저 사람보다 뒷자리냐”라며 버럭 화를 내기보다

“괜찮아, 어떤 자리면 어때”라며 이른바 ‘의전’ 때문에 바짝 긴장하고 있는 실무자를 다독이는

고위층이라면 절로 존경을 받게 될 것이다. 귀빈석에 앉는 게 군자가 아니라, 군자가 앉는 곳이

곧 귀빈석이다. 군자는 스스로 빛나는 사람인 것이다.

 

김병기 서예가·전북대 명예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