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잠이 뇌의 노화를 늦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스라엘 방송 YNET(Ynetnews.com)은 3일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niversity College London)의
연구 결과 낮잠이 뇌의 노화를 늦추고 인지력 저하와 신경 퇴행성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한낮에 낮잠을 자는 습관을 가진 사람들의 뇌의 부피가 낮잠을 자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15mm 정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외과 전문의인 유리 엘칸 박사는 “우리의 뇌는 나이가 들어 감에 따라 자연스럽게 줄어드는데 이정도 크기는
노화를 3~6년 정도 늦추는 것과 같다”며 “낮잠이 인지 기능 저하와 신경 퇴행성 질환에 대한 보호 효과가 있어
잠재적으로 건강한 뇌 노화를 촉진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라고 말했다.
엘칸 박사는 낮잠의 또 다른 좋은 점도 강조했다. 첫 번째는 ‘인지 기능 향상 및 창의력 증진’이다.
낮잠을 자면 남은 하루 동안 인지 기능이 크게 좋아져 기억력, 집중력, 창의력 및 전반적인 정신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짧은 휴식은 새로 습득한 정보를 처리하고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각성한 뇌는 주의력과 반응성이 뛰어나며 복잡한 작업을
더 잘 처리할 수 있다.
두 번째는 ‘스트레스 해소 및 전반적인 기분 개선’이다. 낮잠은 스트레스 수준을 낮추고 정서적 웰빙을
개선한다는 사실이 이미 입증됐다. 수면 부족에 시달리면 우리 몸은 더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 호르몬을
분비해 컨디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낮잠을 자면 우리 몸은 긴장을 풀고 균형을 회복할 기회를
갖게 된다. 낮잠은 엔도르핀의 분비를 자극해 불안감을 줄이고 정서적 안정감을 개선하며 훨씬 더 큰
행복감을 느끼게 해준다.
세 번째는 ‘심장 건강 및 심혈관 기능 개선’이다. 일주일에 두 번 낮잠을 자는 것과 심장 질환 및 심혈관 질환의
위험 감소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연구에 따르면 가끔 또는 정기적으로 낮잠을 자는
사람은 심장 관련 유병률이 낮다. 낮잠으로 혈압을 낮추고 염증을 줄이며 심혈관 기능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엘칸 박사는 “낮잠은 20~30분 정도 자는 것이 좋다”며 “커피 한 잔을 마신 뒤 잠을 자고 일어나면 카페인의
최고 효과를 경험하여 정신이 맑아지고 기분이 좋아지는 것을 느낄 수 있는데 이런 ‘커피 낮잠’이라는 방법도
있다”고 말했다.
출처 : 코메디닷컴
'중년의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년 건강 망치는, 대표적인 나쁜 습관 7 (0) | 2023.07.07 |
---|---|
여름철인데 온수 샤워가 시원한 이유 (0) | 2023.07.06 |
여름철이 무서운 당뇨 환자… 특히 주의해야 할 것은? (0) | 2023.07.05 |
선글라스 안 쓰고 운전하거나 외출하면… (0) | 2023.07.04 |
아스파탐 (2) | 2023.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