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에 거주하는 50대 A씨는 최근 평창 발왕산 관광 케이블카를 이용하면서 탑승권 30% 할인
혜택을 부여받았다. 국가 유공자나 경로 우대 등에 해당하지 않는데도 할인이 됐다.
A씨가 평창군의 ‘디지털 관광주민증’을 소지한 덕분이다.
디지털 관광주민증은 저출산 고령화가 심화하면서 인구소멸 위기를 겪고 있는 지역과 협력해
한국관광공사가 제공하는 일종의 명예주민증이다.
관광 활성화를 통해 교류·유동인구를 늘리면서 농어촌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자는 취지다.
한국관광공사 인터넷 사이트에서 신청·발급이 가능하다. 전국적으로 11개 자치단체가 시행 중이고,
강원도내에서도 평창·정선군이 대상지로 선정돼 관광지 이용 시 할인 혜택을 부여하고 있다.
강원랜드가 최근 한국관광공사와 업무협약을 체결, 디지털관광주민증 소지자에게 일부 시설·장비
할인 혜택을 주기로 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디지털 관광주민증은 ‘관광시민·관광군민’ 개념이 현장에 적용되는 모델케이스라고 할 수 있다.
외지 관광객이 주민증을 소지하고 대우받음으로써 “내 고장에 왔구나”하는 자존 의식을 발현하고,
더 많은 관광객이 더 자주 방문할 수 있도록 한다면, 그야말로 일석다조다.
유사 사례로, 해외에서는 에스토니아의 ‘전자시민권’이 유명하다.
우리나라 국토의 절반 크기에 인구는 122만명밖에 안되는 유럽의 소국인 에스토니아는 ‘전자시민권’
발급을 통해 디지털 세상에서 수많은 시민을 확보하고 있다.
유럽에서 스타트업 창업이나 비즈니스를 하고자 하는 개인이나 법인을 현실세계가 아닌 전자정부의
디지털 세상으로 불러들여 시민권을 발급, 각종 편의를 제공하면서 과세 수입을 창출해 내는 시스템이다.
최근 강릉시와 강원도민일보 주최로 강릉원주대에서 열린 ‘강릉발전전략 포럼’에서 이훈 한양대
교수(전 한국관광학회장)는 미래사회 시민은 ‘관광시민’이라며 도시계획 수립 시 관광시민을 포함한
교통, 안전, 숙박 대책을 세울 것을 주문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관광객은 시민사회 구성원으로 자존감을 가지고 책임관광을 하고, 일반시민들은
열린 문화로 관광객을 수용하는 개방성이다. 강릉 등 관광도시들이 새겨들어야 할 조언이다.
출처 : 강원도민일보
'소소한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개구리 피서법 (0) | 2023.08.07 |
---|---|
ROTC 인기 추락 (0) | 2023.08.01 |
욕탕에 발가벗고 들어가는 한국...세계가 손꼽는 ‘화끈한 나라’ 1위 (0) | 2023.07.31 |
교사에게 훈육을 빼앗는 사회 (0) | 2023.07.31 |
꽁초에 대한 단상 (0) | 2023.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