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중과 치매와의 관련성은 학계의 뜨거운 감자다.
그런데 최근 비만하지 않은 노인이 갑자기 살이 빠진다면 치매를 의심해 봐야 한다는 국내 연구결과가
나와 화제를 모으고 있다.
이준영·김금유 서울시 보라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와 김어수 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체중 변화와 치매와의 관계가 비만 여부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연구팀은 국가 노인 코호트 분석을 통해 65세 이상 대상자 4600여명의 1년간 체중 변화와 이후 4년간
치매 발병 여부를 조사했다. 여기서 비만 여부는 체질량지수(BMI)에 의해 정의하고(25kg/㎡ 이상)
복부 비만은 허리둘레(남자 90cm, 여자 85cm 이상)로 정의했다.
그 결과, 비만이 아닌 대상자는 1년간 BMI가 1%씩 감소할수록 치매 발병 위험이 3.3%씩 증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알츠하이머병의 발병 위험도는 4.8%씩 증가했다. 반면, 비만인 대상자의 BMI 감소와
치매 발병 위험도는 연관성이 없었다. 오히려 비만이면 허리둘레가 이전보다 감소할 경우 알츠하이머의
발생이 낮아졌다.
즉, 근육량을 포함하여 적정 체중과 좋은 영양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살이 빠지는 것보다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뜻이다. 살이 빠지는 게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되려면 몸무게가 아니라 복부 지방이 줄어야
하는 것으로 노년기의 적절한 영양 섭취와 근육량 유지가 매우 중요하다는 뜻으로 풀이해 볼 수도 있다.
연구팀의 김근유 교수는 “후각과 식욕을 담당하는 뇌신경세포의 퇴행 때문에 체중 감소가 선행하고
이후 인지장애 증상이 드러날 수도 있으나, 지방 조직량 이외에 신경보호 역할을 하는 근육량도 BMI 지수에
포함되기 때문에 근육량의 정도가 연구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며 “BMI보다 지방량이 더 잘 반영되는
허리둘레의 감소는 오히려 알츠하이머 치매 위험을 감소시킨 것이 이런 가설을 뒷받침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해당 연구는 노년기 비만 유무에 따른 BMI 또는 허리둘레의 감소와 치매 발병률의 연관성을
규명한 최초 연구”라며 “관찰한 대상자들의 체중감소 원인을 알 수는 없었으므로 운동이나 식이조절 때문인
의도적 체중감량이 치매 발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추후 연구에서 규명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알츠하이머협회 공식 학술지 ‘알츠하이머 앤 디멘시아(Alzheimer's & Dementia)’에
최근 실렸다.
출처 : 주간조선(http://weekly.chosun.com)
'중년의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면 먹을 때 이것 같이 드세요…식약처 추천 의외의 '꿀조합' (0) | 2023.08.25 |
---|---|
‘치맥’에 열광했던 2030 사이에서 급격히 증가한 '이 병', 뭐길래 (0) | 2023.08.25 |
전 세계 MZ세대 대장암 증가… 정크푸드가 주범? (0) | 2023.08.25 |
치유란 무엇인가? (0) | 2023.08.24 |
“소파 있어도 바닥 앉아”… 무심코 앉는 습관 허리엔 최악 (0) | 2023.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