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중년은 사라지지 않는다
소소한 일상

800살 은행나무와 AI 소방관

by maverick8000 2024. 1. 29.

 

‘쉬리’로 한국 영화사에 한 획을 그은 강제규 감독의 데뷔작은 1996년 개봉한 ‘은행나무 침대’다.

“한국에서 이런 영화가 성공하겠어”라는 우려를 “한국에도 이런 영화가”라는 찬사로 바꾼 판타지 영화다.

천 년 전, 사랑을 이루지 못한 두 사람이 한 쌍의 은행나무가 된다. 하지만 그중 한 그루는 벼락을 맞아 불탄다.

긴 세월이 지나 사람으로 환생한 그가 그녀의 영혼이 깃든 은행나무 침대와 만나는 이야기다.

그런데 왜 은행나무 침대였을까. 천 년의 사랑을 이야기하려면 장수하는 은행나무 외에는 대안이 없었을 듯하다.


나무는 다 오래 산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꼭 그렇지도 않다. 자작나무는 수령(樹齡)이 50년 안팎이라고 하니

사람 수명보다 짧다. 세계 최고령 나무로 알려진 것은 올해로 4856살이 된 미국 캘리포니아의 브리슬콘 소나무

‘무드셀라’다. 무드셀라는 969세까지 살았다는 성경 속 인물이다.

몇 년 전엔 칠레 국립공원의 알레르세라는 나무가 5500살에 가깝다는 한 연구진의 추정도 나왔다.

 

국내에선 울릉도 도동의 향나무가 2000살이 넘은 것으로 추정되지만 공식적으로는 강원 정선 두위봉의

주목이 1400살로 최고령이다. 경기 양평 용문사의 은행나무도 1100살이 넘었다.

이 밖에 경북 봉화의 느티나무, 경남 김해의 이팝나무, 제주 애월의 팽나무가 수령 600~1000년을 자랑한다.

 


천연기념물인 강원 원주 반계리의 800살 넘은 은행나무가 ‘인공지능(AI) 소방관’의 보살핌을 받게 됐다.

 

 원주시가 2억원을 들여 ‘자율형 화재 초동 진압 설비’를 설치한다고 한다.

 낙뢰 등으로 화재가 발생했을 때 스스로 불이 난 곳을 찾아 진화하는

시스템이다.

수많은 외침(外侵)과 식민지배 시대의 수탈, 6·25 전란을 한국의 나무들도 고스란히 겪었다.

타고난 수명만큼도 살기 어려운 환경이었을 텐데 꿋꿋하게 버텨준 ‘고령의 나무들’이 참 고맙다.

경복궁 ‘낙서 테러’ 등으로 문화유산 보호에 대한 목소리가 커진 요즘이다.

문화유산 못지않게 자연유산도 소중하다.

다른 지역의 귀중한 나무들도 반계리 은행나무 같은 특별한 경호를 받았으면 좋겠다.

 


출처 : 한국경제 [김정태 논설위원]

 

 

 

'소소한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너머의 것들  (1) 2024.01.30
나는 '참치형'인가 '가자미형'인가?  (1) 2024.01.30
동거는 MZ세대의 주거혁명?  (1) 2024.01.29
더하기보다 빼기  (2) 2024.01.29
이상화와 고다이라  (0) 2024.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