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중년은 사라지지 않는다
소소한 일상

'급할수록 돌아가라'의 원래 뜻

by maverick8000 2024. 10. 18.

 

 

‘급할수록 돌아가라’는 한국 전래의 속담으로 아는 사람이 많지만 사실은 일본에서 전해진

수입 속담이다. 일본어로는 ‘이소가바 마와레(急がば回れ)’라고 한다.

일상에서 흔히 쓰는 말이지만, 곰곰이 생각해보면 ‘천천히 가라’도 아니고 왜 하필 ‘돌아가라’고 했는지

어구만으로는 그 의미가 아리송하다. 의문에 대한 답은 본래 일본 속담의 유래에서 찾을 수 있다.

 

‘이소가바 마와레’는 15세기 무로마치(室町) 시대에 종장(宗長)이라는 시인이 지은 연가(連歌)의

한 구절이다. 노래 배경은 이렇다.

일본의 동서를 연결하는 간선도로인 도카이도(東海道)에는 구사쓰(草津)와 오쓰(大津)라는

교통 요지가 있다. 두 곳 사이에는 일본에서 가장 큰 호수인 비와코(琵琶湖)가 있어서

두 곳을 오가려면 배를 타고 호수를 건너거나, 조금 떨어진 곳의 다리를 건너야 한다.

두 노선의 거리는 호수 횡단 뱃길이 7km, 다리를 이용하는 우회로가 13km로 두 배 가까이 차이가 있다.

 

당연히 뱃길이 빠른 길이다. 다만 이 길은 인근 히에이(比叡)산에서 시시때때로 불어오는 돌풍에

배가 전복되는 사고가 끊이지 않는 곳이었다.

어떤 길을 선택하느냐 하는 기로에서 먼 거리를 돌더라도 안전하게 다리를 이용하는 편이 결국은

더 빨리 목적지에 도달하는 지혜라는 것이 이 구절의 의미였다.

 

 

급할수록 돌아가라는 말은 단순히 서두르지 말라는 뜻이 아니다.

불확실한 상황에서는 시간이나 비용이 더 들더라도 조금이라도 더 확실하고 검증된 방식을

택하라는 것이 본래 뜻이라고 할 수 있다.

신속한 결단과 리스크 테이킹이 생존과 직결되는 현대사회에서 한가한 소리처럼 들릴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큰 성공을 이루는 법보다 실패를 줄이는 법을 먼저 익히는 것이 성공에 이르는 지름길일 수도

있는 것이 인간사의 이치가 아닐까 한다.

 

신상목 주일대사관 前 서기관

 

 

참고로... "급할수록 돌아가라"의 영어 속담은

"Haste makes waste"입니다.. (급하게 서두르면 쓰레기(낭비)를 초래한다는 의미이겠지요..)

 

 

 

'소소한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대함에 대하여  (2) 2024.10.21
졌지만 이긴다는 것  (0) 2024.10.21
엄마의 냉장고, 아이의 냉장고  (3) 2024.10.18
나가자! 만나자! 배우자!  (2) 2024.10.17
한국인의 못 말리는 '장비 욕심'  (12) 2024.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