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관계를 하지 않는 매우 절제된 삶이 오래 사는 비결 중 하나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일간 미러는 최근 섹스를 회피하는 것이 성생활을 활발하게 하는 것보다 장수하는 데
더 도움이 된다는 셰필드 대학의 연구결과를 보도했다.
수녀와 독신녀가 성관계를 자주 갖는 사람들보다 더 오래 사는 경향이 있는 것은 분명하다.
잡지 ‘플레이보이’의 창업자 휴 헤프너 같은 예외적인 경우도 없지 않다.
연구팀장인 마이클 시바-조시 박사는 “수녀들은 아이들을 가진 여성들보다 수명이
더 길다”며 “영생하는 것처럼 느껴지는 처녀 숙모를 둔 사람들도 주변에서 많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육체적 순결과 장수 사이의 연관성은 널리 연구됐다.
또 수명이 점점 더 길어짐에 따라 어떻게 하면 최선의 삶을 살 것인지 조언하는 말들도 쏟아져 나오고 있다.
2030년까지 영국의 평균 기대수명은 80세 후반으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등 세계인들의
수명은 갈수록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식이요법·운동과 각종 건강제품 등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이 사업의 대상으로 떠오르고, 장수 방법을 제시한다는 온갖 명분으로
‘웰빙’ 및 관련 용어도 우후죽순처럼 생긴다.
장수는 최소한 섹스에 대한 태도에 달려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과학자들은 장수의 비밀로 ‘더 많은 섹스’를 절대 추천하지 않는다. ‘더 적은 섹스’도 아니고
‘노 섹스’(No sex)를 권한다. 말 그대로, 섹스를 전혀 하지 않는 것이 오래 사는 비결이라는 것이다.
연구팀의 시바-조시 박사는 “짝짓기를 하는 딱정벌레는 그렇지 않은 딱정벌레보다
더 빨리 죽는다”라고 밝혔다. 그는 “이 메커니즘은 인간의 경우 똑같지는 않으나, 원칙은 같다.
딱정벌레의 경우 수컷의 정자나 암컷의 난자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호르몬을 분비하며,
이것이 면역시스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딱정벌레는 성관계를 함으로써 면역시스템의 약화를 초래하고 이 때문에 수명이 몇 년 단축된다는 것이다.
시바-조시 박사는 딱정벌레에 적용되는 사례가 인간 등 다른 유기체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믿었다. 이 같은 사실은 다른 연구에서 입증됐다. 생식기 제거라는 매우 극단적인 조치를 당한
한국 내시들은 일반인들보다 더 오래 산 것으로 보고돼 있다.
거세가 수명 연장에 큰 영향을 미친 것이다.
‘현대 생물학’ 저널에 발표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수백 년 전 한국 내시들은 같은 사회계층
출신의 거세하지 않은 남성보다 19년이나 더 오래 살았으며, 심지어 왕족들보다도 더 장수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은 평균 기대수명을 줄일 수 있으며, 이는 여성이
왜 남성보다 장수하는지 설명해 준다”고 밝혔다. 남성이 독신 생활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이
훨씬 더 많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이 내용은 성 전문 인터넷신문 속삭닷컴이 보도했다. (사진=shutterstock.com)
출처 : 코메디닷컴 김용 기자
'중년의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늙어가는 근육 되살릴 식습관 5가지 (0) | 2022.09.20 |
---|---|
아침에 계란 두 개만 먹으면 살 ‘쑥쑥’ 하루 ‘쌩쌩’ (2) | 2022.09.16 |
몸 망치는 안 하느니만 못한 나쁜 걷기 4 (0) | 2022.09.16 |
뛰어난 함량의 약국용 성인전용 피로회복 종합영양제, 어깨뭉치고 피곤하신 성인들, 하루 1알로 끝냅니다 (0) | 2022.09.16 |
피부 노화 관리 (0) | 2022.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