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이가 들면 특유의 체취가 난다. 40대 이후부터 나기 시작하며 시간이 갈수록 짙어진다.
냄새의 원인은 ‘노넨알데하이드’다. 노넨알데하이드는 피지 속 지방산이 산화되면서 생성되는 물질로,
모공에 쌓여 퀴퀴한 냄새를 풍긴다. 40대에 접어들면 노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피부 유익균 감소·유해균 증가 ▲피부 산성화 ▲지질 성분 변화 등으로 인해 노넨알데하이드가
만들어진다. 반면 노넨알데하이드 제거 능력은 점차 감소해 냄새가 더욱 강해진다.
노인 특유의 체취는 노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변화인 셈이다. 이 같은 변화를 인위적인
방법으로 완전히 해결할 순 없다. 다만 잘 씻고 생활환경·습관을 개선하면 냄새를 줄이는 데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노넨알데하이드는 피지샘을 거쳐 피부를 통해 배출되는 만큼 규칙적으로 샤워를 하고,
주 2회 이상 입욕을 하는 것도 좋다. 피부를 불려 씻으면 산화 성분이 효과적으로 제거된다.
씻을 때는 비누나 바디워시를 사용해 피지를 깨끗이 제거한다. 충분히 거품을 낸 다음 흐르는
물로 닦고, 특히 회음부, 겨드랑이, 발가락, 귀 뒤 등 냄새가 많이 나는 곳을 꼼꼼히 씻도록 한다.
매일 피부와 맞닿는 의류·침구류에도 노넨알데하이드가 묻을 수 있으므로 자주 세탁해야 한다.
분비물과 땀을 많이 흡수하는 속옷·양말은 더 자주 환복·세탁하고, 세탁만으로 냄새가 사라지지
않으면 새 제품으로 교체하거나 삶은 뒤 입도록 한다.
집에 있을 때는 호흡 과정에서 나온 냄새 유발 성분이 집안에 축적되지 않도록 창문을 열어
환기시키며, 하루에 일정 시간 동안은 밖으로 나가 햇볕을 쬐는 게 좋다. 자외선에는 살균 효과가
있어 냄새 제거에 도움이 된다. 산책을 하면 땀과 함께 노폐물이 배출돼 냄새가 줄어드는
효과도 있다. 노폐물 배출을 위해서는 물을 자주 마시는 것 또한 중요하다.
출처 : 헬스조선
출처 : 헬스조선
'소소한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신이 좋은 사람이란 10가지 특성 (2) | 2022.12.14 |
---|---|
참기름·들기름, ‘냉장고’에 넣으면 생기는 일 (0) | 2022.12.14 |
“키 좀 크기 위해” 다리뼈 부러뜨리는 젊은이들 (0) | 2022.12.08 |
독일의 합리적 애완견 세금 (1) | 2022.12.08 |
왕 떠나고 20년 더 살았다… 내시가 무병장수한 이유는? (0) | 2022.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