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영옥 소설가
걱정이 많을 때, 드라마나 영화를 보면 왜 휴식하는 느낌이 들까.
‘아무 생각 없이’ 집중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겠지만 오히려 영화나 드라마 속 인물에 감정이입을
하며 자신의 불안에서 한 발짝 물러서기 때문이다.
“저 사람도 힘들구나. 나만 헤매는 건 아니구나”라고 자신의 불안을 주인공에게 투사해
‘짓눌린’ 감정에서 멀어지기 때문이다.
나는 이유 없이 불안할 때 ‘나’가 아니라 ‘백영옥씨’나 ‘그녀’라는 주어를 사용해 일기를 쓴다.
“백영옥씨는 맹렬히 손톱을 물어뜯고 있다. 무엇이 그녀를 불안하게 했을까?”로 시작하는 글이다.
1인칭 주인공 시점에서 3인칭 관찰자 시점으로의 급격한 전환은 걱정에 휩싸여 흙탕물이 된 상황에
높이와 넓이를 부여한다. 시간이 지나면 흙탕물은 가라앉는다.
문제는 기다림의 시간을 어떻게 보내느냐에 있다.
그 시간을 잘 견디면 ‘성공’은 아니더라도 ‘성장’은 할 수 있다. 의도적인 시점 전환은 걱정을
줄이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
데일 카네기의 책 ‘자기 관리론’은 ‘존스 홉킨스 의대’를 설립한 윌리엄 오슬러 경의 이야기로
시작된다. 의사 자격시험도 제대로 치를 수 없어 두려워하던 이 평범한 청년의 미래를 바꾼 건
“멀리 희미하게 보이는 것을 보려 하지 말고, 눈앞에 분명히 놓여 있는 것을 행해야 한다”는
토머스 칼라일의 문장을 새기면서였다.
그는 주기도문이 어제 먹어서 딱딱해진 빵이나, 밀 농사를 망쳐 먹지 못할 빵을 걱정하는 게 아니라
“오늘 우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시고”라는 말로 전달된다는 걸 기억하라고 말한다.
우리가 먹을 수 있는 ‘유일한’ 빵이 오늘의 빵이란 의미다.
걱정과 생각은 다르다.
생각은 인과관계를 따져 내일을 구체적으로 계획하는 것이다.
하지만 ‘윌 로저스’의 말처럼 걱정은 흔들의자 같아서 계속 움직이지만 아무 데도 가지 못한다.
할 수 없는 일을 걱정할 게 아니라, 지금 당장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해야 한다.
아직 내일은 시작되지 않았고, 오늘은 끝난 과거가 아니기 때문이다.
출처 : 조선일보 [백영옥 소설가]
'소소한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보의 삶’을 사세요 (0) | 2023.04.03 |
---|---|
ROTC 복무 단축 추진, 연쇄 부작용 낳는 국방 포퓰리즘 (0) | 2023.04.03 |
독(毒) 같은 사람 멀리하기 (0) | 2023.04.03 |
양구 개느삼 (0) | 2023.03.29 |
중년의 품격 (0) | 2023.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