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 잘 묵으쓰면 됐지. 그게 뭐라꼬 여태 얹힜노?”
― 양우석 감독 ‘변호인’
“대한민국 주권은 국민에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국가란 국민입니다!”
양우석 감독의 영화 ‘변호인’은 이 명대사로 잘 알려져 있다.
국가의 폭력에 의해 희생당할 위기에 처한 청년을 구하기 위해 법정에서 그를 변호하는
송우석(송강호) 변호사의 일갈이다.
영화사에 남을 명장면이지만 그럼에도 내게 남은 이 영화의 명장면은 따로 있다.
그건 송우석 변호사가 고시 준비할 때 자주 갔던 국밥집 아지매 최순애(김영애)와의 일화다.
너무 힘들어 포기하려고 책까지 다 팔아넘기고 그 집을 찾은 송우석은, 밀린 외상값을 내려고
주머니 속 지폐를 만지작거리다가 그만 도망치고 만다.
그 길로 다시 중고서점을 찾아 팔았던 책들을 되찾고 그렇게 시험에 합격해 변호사가 되어 돌아온다.
그 빚을 갚기 위해 다시 찾은 국밥집. 송우석이 자신이 그때 밥 먹고 도망친 놈이라며
외상값이 든 두툼한 봉투를 건네려 하자 최순애는 만류하며 말한다.
“자고로 묵은 빚은 돈 말고 얼굴하고 발로 갚는 기라. 자주 오라꼬. 알긋나?
아이고 마 기분 째진다. 오늘도 공짜다.” 그 말에는 진심이 묻어난다.
빚지고 도망친 이를 나무라기보다는 자신이 차려준 밥 먹고 성공한 이를 기뻐한다.
감복한 송우석이 한번 안아봐도 되냐며 꼭 껴안자 최순애는 마치 엄마처럼 등을 두드리며 말한다.
“밥 잘 묵으쓰면 됐지. 그게 뭐라꼬 여태 얹힜노?”
이 국밥 한 그릇의 가치는 얼마나 될까. 그건 값이 아니라, 거기 담긴 마음의 가치다.
호사스러운 대접을 받고도 얹히는 마음 없이 사는 이들이 얼마나 많은가.
그 작은 국밥 하나의 신세도 잊지 않는 마음과, 그걸 그저 돈이 아닌 마음으로 환산하는 마음.
요즘 같은 시대에 더더욱 그리워지는 마음들이다.
정덕현의 "그 영화, 이 대사" 中에서
문득, 한참 나이인데 돌아가신 故 김영애씨가 보고싶어지는군요....
'소소한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년 전엔 빛을 못 봤던 '펀치볼 세렝게티' 구상 (5) | 2024.10.25 |
---|---|
우리 개는 안 물어요, 내가 물어요 (7) | 2024.10.25 |
니모를 찾아서 (1) | 2024.10.23 |
요즘 풍경 사진 몇 장... (4) | 2024.10.23 |
이게 정녕 내 체중이란 말입니까? (9) | 2024.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