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함평군은 멸종 위기의 천연기념물 황금박쥐가 162마리 발견되자 순금 162㎏에, 은 281㎏으로
2008년 황금박쥐상을 제작했다. 세금 27억원을 들였는데 ‘혈세 낭비’로 지탄받았다.
그런데 요즘은 ‘함평의 테슬라’로 불린다. 금값이 치솟아 가치가 10배로 뛴 270억이 된 덕분이다.
테슬라나 엔비디아 못지않게 높은 수익률의 금(金)테크다.
▶금은 얇게 펴지고 늘어나는 성질이 뛰어나 1g 정도의 금을 최대 3㎞ 가까이 늘일 수 있다.
엄지손가락만 한 금을 얇게 펴면 3층 건물을 뒤덮을 정도여서 장신구 등에 많이 쓰였다.
그간 지구에서 채굴된 금은 통틀어 18만7200t이다. 90% 이상이 미국 서부 ‘골드 러시’ 이후 채굴됐다.
잔존 매장량 5만여t이 15년 이내에 고갈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삼국지 위서 동이전 부여 편에 우리 조상들이 금은을 모자 장식용으로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다.
조선 태종 때는 “금이 나지 않는데 해마다 중국에 바치는 것이 700여 냥쭝(26.25㎏)이나 되니
매우 염려된다”며 궐내에 금은 그릇 사용을 금지했다.
지금처럼 아기 돌잔치에 금반지를 선물할 정도로 대중화된 건 1973년 금 수입 자유화 이후다.
2000년에 순금 1돈(3.75g)의 도매가가 약 3만9600원이어서 돌반지 선물도 줄 만했다.
지금은 60만원을 넘어가니 선뜻 돌반지 선물도 어렵게 됐다.
▶우리나라 외환 보유액은 세계 9위 수준인데 한국은행 금 보유량(104.4t)은 세계 36위에 불과하다.
미국(8133t), 독일(3352t), 이탈리아(2451t), 프랑스(2436t) 순으로 중앙은행 금 보유량이 많다.
러시아는 2014년부터 금을 대거 사들여 세계 5위가 됐다. 최근엔 중국이 달러 의존도를 낮추려고
금을 집중 매입한다. 보석용 수요 외에, 각국 중앙은행과 투자 수요가 늘어 금값이 치솟고 있다.
▶국제 금값이 트로이온스(31.103g)당 2908.17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안전 자산이라고 하나 오랫동안 별로 매력 없는 투자처였다. 1980년 트로이온스당 680달러에서
1985년 300달러 밑으로 반 토막 났다. 27년 만인 2007년에야 1980년 시세를 회복했다.
유럽 재정 위기가 벌어진 2011년에 1900달러까지 올랐다가 또 반 토막 났다.
트럼프발(發) 관세 전쟁이 격화되면서 국제 금값을 밀어 올리고 있다.
한국조폐공사가 금 판매를 일시 중단할 정도로 국내에도 골드바 투자 열풍이 불고 있다고 한다.
불안한 경제를 방증하는 불안한 금값 상승이다.
출처 : 조선일보 만물상
'소소한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사과가 제일 쉬웠어요 (2) | 2025.02.13 |
---|---|
세월의 물결이 어여쁘구나 (1) | 2025.02.13 |
매년 우리는 다시 시작한다 (1) | 2025.02.13 |
옷차림이 귀티 나는 사람을 만든다 (2) | 2025.02.13 |
내가 나의 엄마가 되기로 했다 (1) | 2025.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