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산물뿐만 아니라 채소류도 식중독을 유발할 수 있다.
제대로 씻지 않은 채소를 익히지 않고 먹으면 대장균, 리스테리아 등에 감염될 위험성이 크다.
식약처에 따르면 생채소는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이다. 구토, 복통, 설사 등
증세를 유발한다.
채소의 식중독균을 없애려면 흐르는 물에 바로 씻기 보다는 수돗물에 담갔다가 세척하는 것이 좋다.
물에 잠긴 채소를 손으로 저으며 씻은 뒤 흐르는 물에 헹구는 것이다.
소량의 염소소독액(차아염소산나트륨)을 희석한 물에 채소를 담가도 살균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염소 성분은 휘발성이 강해 과일, 채소에 잔류할 위험성이 낮으므로 식품 소독에 사용 가능하다.
단, 채소 살균을 목적으로 염소소독액을 구입하려면 ‘화학적합성품 또는 혼합제제’로 표시된
제품인지 확인해야 한다.
깻잎, 상추, 열무 등 엽채류는 잔털과 주름이 많아 균과 농약 등이 남아있을 가능성이 높다.
5분 정도 물에 담갔다가 30초 정도 흐르는 물에 씻으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배추와 양배추는 겉잎 2~3장을 떼어내고 세척하는 것이 좋다. 파, 양파, 마늘, 감자 등 뿌리채소도
흙을 비롯해 눈에 보이지 않는 균들을 제거해야 한다.
특히 파는 뿌리뿐만 아니라 잎도 꼼꼼히 씻어야 한다.
파는 시들거나 오염이 된 가장 겉부분을 제거한 뒤 세척하는 것이 좋다.
조리기구를 구분해 교차오염도 방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교차오염이란 미생물에 오염된 식재료, 기구, 물 등이 오염되지 않은 식재료 등과 섞여
균이 옮는 것이다. 육류를 손질한 도마, 칼을 소독하지 않고 채소에 그대로 사용하면
교차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달걀이나 생선, 육류 등을 만진 손으로 채소를 만지는 것도 위험하다.
채소류는 세척 뒤 바로 먹는 것이 가장 좋다. 곧바로 먹기 어렵다면 냉장고에 보관해야 하며,
가급적 2시간 안에 먹어야 안전하다. 물기가 있는 채소를 실온에 오래 놔두면 고온다습한 환경으로
식중독균이 번식하기 쉽다.
출처 : 코메디닷컴
'소소한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승의 날이 5월 15일인 까닭은? (0) | 2023.05.16 |
---|---|
여름맞이 브라질리언 왁싱, 피부 건강엔 괜찮을까? (0) | 2023.05.15 |
가방에 담아온 유머 (0) | 2023.05.09 |
손흥민 100골, ‘국뽕 잔치’ 속에서 새길 명언 (0) | 2023.04.11 |
영원한 디바, 현미 [신동욱 앵커의 시선] (0) | 2023.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