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중년은 사라지지 않는다
소소한 일상

경칩 (驚蟄)

by maverick8000 2023. 3. 6.

경칩 (驚蟄)

 

1년을 24개로 구분한 24절기 가운데 세 번째 절기

 

우수와 춘분 사이에 들어 있으며, 태양의 황경(黃經)이 345°에 해당될 때이다.

음력으로는 2월 중에, 양력으로는 3월 5일경이 된다. 경칩은 글자 그대로 땅속에 들어가서

동면을 하던 동물들이 깨어나서 꿈틀거리기 시작하는 무렵이 된다.

 

개구리들은 번식기인 봄을 맞아 물이 괸 곳에 알을 까놓는데, 그 알을 먹으면 허리아픈 데

좋을 뿐 아니라 몸을 보한다고 해서 경칩일에 개구리알을 먹는 풍속이 전해 오고 있다.

지방에 따라서는 도롱뇽알을 건져먹기도 한다.

또, 경칩에는 흙일을 하면 탈이 없다고 해서 벽을 바르거나 담을 쌓기도 한다.

 

경칩 때 벽을 바르면 빈대가 없어진다고 해서 일부러 흙벽을 바르는 지방도 있다.

빈대가 심한 집에서는 물에 재를 타서 그릇에 담아 방 네 귀퉁이에 놓아두면 빈대가 없어진다는 속설이 전한다.

 

한편, 경칩날에 보리싹의 성장을 보아 그 해 농사의 풍흉을 예측할 수 있다고도 한다.

또한, 단풍나무나 고로쇠나무를 베어 나무에서 나오는 수액을 마시면 위장병이나 성병에 효과가

있다고 해서 약으로 먹는 지방도 있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얼마 전까지만 해도 손,발이 시려 "아이 추워"를 연발했지만

시간은 어김없이 흘러 봄이 왔습니다.

춘분까지는 아직 시간이 더 있어야겠지만요..

요즘은 여름이 일찍오니 5월 초순만 되어도 그땐 "아이 더워"를 연발하겠지요.

암튼, 빈틈없는 세월의 촘촘함에 다시금 감탄하는 오늘입니다.

늘 건강하시고 행복하십시요~ ^^